2025년부터 경기도를 중심으로 시행되는 청년기본소득, 여러분은 들어보셨나요? 이 제도는 단순히 돈을 주는 게 아닙니다. 청년의 행복과 자립을 위한, 말 그대로 ‘기본을 보장’ 해주는 제도예요. 취업이 어렵고 물가는 오르는데, 뭘 시작하든 돈이 필요한 지금, 정부가 드디어 청년의 현실에 손을 내밀어 주는 좋은 제도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 경기도는 만 24세 청년에게 1인당 25만 원, 연 최대 100만 원을 지역화폐로 지급합니다. 이건 단순한 복지가 아니라, 청년의 삶을 응원하는 하나의 방식이라고 생각합니다. 이 글에서는 대상, 혜택, 신청, 절차, 서류, 일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대상: 누가 받을 수 있을까?
조건은 생각보다 간단해요. 신청일 기준으로 경기도에 주소지를 둔 만 24세 청년이면서, 동안 경기도에 3년 이상 계속 거주했거나, 합산 10년 이상 거주한 경우면 누구나 신청 가능합니다. 좋은 점은 소득이나 재산과는 무관하고 부모님 소득도, 내 알바 수입도 상관없습니다. 다만, 성남시(조례 폐지)와 고양시(시비 미편성)는 대상에서 제외되니 주소지가 이쪽이라면 확인이 필요합니다.
어떤 혜택이 주어질까?
경기도는 분기마다 25만 원씩, 연간 총 100만 원을 지역화폐 카드로 지급합니다. 이 지역화폐는 전통시장이나 동네 가게에서 쓸 수 있다고 합니다. 말하자면, 나를 위한 생활지원금이자, 동네를 위한 소비생활지원금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. 단, 유효기간이 있습니다. 기본은 3년, 시흥·군포·과천은 5년입니다. 기간이 지나면 소멸되니 꼭 챙겨 쓰셔야 합니다.
신청은 어떻게?
신청 방법은 ‘잡아바 어플라이(apply.jobaba.net)’ 사이트에서 온라인으로 간단하게 진행이 된다고 합니다.
1. 회원가입 후 로그인
2. 신청서 작성 (이름, 생년월일, 주소 등)
3. 주민등록초본 첨부 (최근 5년 주소 이력 포함, 전입일/변동일/세대주 관계 표시)
4. 지역화폐 카드 정보 입력
이렇게만 하면 끝! 이후 자격 심사를 거쳐, 카드로 지원금이 입금이 됩니다. 모든 과정이 비대면이라 편리하답니다.
절차는 어떻게 될까?
신청 → 서류 제출 → 자격심사 → 지급 승인 → 지역화폐 카드 지급
이 모든 과정이 온라인으로 진행돼요. 따로 면접을 보거나 복잡한 인터뷰 같은 건 없습니다. 시간만 잘 지키면 누구나 쉽게 신청 가능합니다.
제출서류 체크!
- 최근 5년간 주소이력이 포함된 주민등록초본 (전입일/변동일/세대주 관계 필수)이 필요합니다.
- 본인 명의 지역화폐 카드 정보 (경기지역화폐 앱 등에서 발급 가능)가 필요합니다.
2025년 지급일정
분기 | 연령 기준일 | 지급 대상 생년월일 | 신청기간 | 심사 기간 | 지급일 |
---|---|---|---|---|---|
1분기 | 2025.01.01 | 2000.01.02 ~ 2000.12.31 | 2025.03.01 ~ 2025.03.31 |
03.05 ~ 04.10 | 04.20 |
2분기 | 2025.04.01 | 2000.04.02 ~ 2000.12.31 | 2025.05.01 ~ 2025.05.30 |
05.07 ~ 06.10 | 06.20 |
3분기 | 2025.07.01 | 2000.07.02 ~ 2000.12.31 / 2001.01.01 ~ 06.30 |
2025.07.01 ~ 07.31 |
07.04 ~ 08.29 | 09.10 |
4분기 | 2025.10.01 | 2000.10.02 ~ 2000.12.31 / 2001.01.01 ~ 06.30 |
2025.10.15 ~ 11.14 |
10.20 ~ 12.10 | 12.20 |
※ 2001년생부터는 1회 일시금 지급이며, 신청 기회는 총 2회!
예: 2001년 3월 20일생이라면 7월 또는 10월에 1회 신청 가능합니다.
💬 마무리하며
지금의 청년기본소득은 단순한 ‘현금 지원’이 아닙니다. 청년이 자기 삶을 설계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는 제도입니다. 연 100만 원이적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, 자취하는 청년에게는 한 달 월세일 수도, 공부나 취업 준비에 쓸 교통비일 수도 있습니다. “정보는 아는 사람이 가져간다”는 말처럼, 이 글을 본 여러분은 이미 반은 준비되신 거나 마찬가지입니다. 당장 해당된다면 바로 신청 준비하시고, 아니더라도 친구나 동생, 지인에게 알려주세요. 함께 사는 세상, 같이 잘 살아야 좋을 거라고 생각합니다.